(22.06.08) (Baekjoon) 14425. 문자열 집합
14425번: 문자열 집합
첫째 줄에 문자열의 개수 N과 M (1 ≤ N ≤ 10,000, 1 ≤ M ≤ 10,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집합 S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들이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검사해야 하는 문자열들이 주어
www.acmicpc.net
시간 제한 : 2초
(Java 8 : 6초, Java 8(OpenJDK) : 6초, Java 11: 6초, Kotlin(JVM) : 6초)
메모리 제한 : 1536MB
정답 비율 : 55.934%
문제
총 N개의 문자열로 이루어진 집합 S가 주어진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M개의 문자열 중에서 집합 S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총 몇 개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문자열의 개수 N과 M (1 ≤ N ≤ 10,000, 1 ≤ M ≤ 10,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집합 S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들이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검사해야 하는 문자열들이 주어진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문자열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는 500을 넘지 않는다. 집합 S에 같은 문자열이 여러 번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M개의 문자열 중에 총 몇 개가 집합 S에 포함되어 있는지 출력한다.
해결 포인트 : 문자를 특정 자료형에 집어넣기(ArrayList, HashMap(추천))
집합 S에 문자를 넣고
입력한 문자가 S에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문제다.
- ArrayList를 이용한 풀이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M,ans;
static Array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String>();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for (int i = 0; i < N; i++) {
list.add(br.readLine());
}
for (int i = 0; i < M; i++) {
String str = br.readLine();
if(list.contains(str)) ans++;
}
System.out.println(ans);
}
}
단순하다.
N번만큼 문자열을 입력하며 ArrayList에 집어넣고
M번만큼 문자열을 입력하며 해당 문자열이 ArrayList에 있으면 답의 값을 +1 해주면 된다.
- HashMap을 사용한 풀이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M,ans;
static HashMap<String,Integer> map = new HashMap<String,Intege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for (int i = 0; i < N; i++) {
map.put(br.readLine(), 1);
}
for (int i = 0; i < M; i++) {
if(map.containsKey(br.readLine())) ans++;
}
System.out.println(ans);
}
}
ArrayList보다 계산 시간이 훨씬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유)
문자열 포함 여부를 찾을 때, 두 문제 모두 contains 관련 명령어를 사용했다.
여기서 ArrayList는 0번 index의 값부터 하나씩 봐가면서 찾는 문자열이 있는지 확인해야 하므로 O(n)만큼의 값이 나오고,
HashMap은 해당 키가 있는지 한번에 찾을 수 있으므로 O(1)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렇기에 특정 값의 포함 여부를 찾는 문제는 ArrayList보다 HashMap을 사용해서 풀이하는 것을 추천한다.